top of page

[인터뷰] 윤후명 작가와 함께

DSCF0547.jpg

오십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꾸준히 글을 써오셨는데, 그동안 작가님의 글에 있었던 제일 큰 변화는 무엇인가요?『새는 산과 바다를 이끌고』를 묶으시며 “내 모든 시들로써 그린 지도를 이제 펼쳐 보여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 지도는 어떤 모습인지 궁금해요.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내가 그린 지도를 내놓을 수는 없습니다. 내 마지막에 그릴 ‘무엇’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곳에 ‘끝’이라는 글자를 쓰기까지 나는 책상 앞에 앉 아 있어야 합니다.

 

작가님의 글과 그림에는 새와 식물 (특히 꽃, 나무 등) 이 유독 자주 등장하는데, 자연에서 자주 영감을 받으시나요?

 

지구는 동식물로 환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동물은 소비자로, 식물은 생산자로 분류되며 이 들은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적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유일하게 언어 문자를 사용할 줄 알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물상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의 <꽃 1>)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글 작업과 어떤 연관이 있나요? 여러 가지 형태의 ‘창작'이 어떻게 한 우주를 이루는지 궁금합니다. 

 

아예 그림과 다른 세계에 살다가 화가들과 어울리면서 화가로도 불리게 되었지요. 그림과 글의 관계를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시의 본질은 그림에 닿아 있습니다.

 

‘대관령’의 끝에서, 한 권의 아름다운 책을 쓰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시며 동시에 “이 시집이 [그 책인지] 감히 말할 수 없다”고 쓰셨던데, 작가님은 스스로 쓰신 글에 완전히 만족하지 않으신다는 뜻으로 해석해도 될까요? 만족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불가능에 가까워 보이는 그 한 권의 아름다운 책을 목표로 삼는 것이 모든 시인과 소설가들의 숙명인가요?

 

인간은 우주의 중심에 있습니다. ‘나’가 없으면 우주도 없다고 철학은 말합니다. ‘나’는 아름다운 책을 그 중심에 놓습니다. 그 책을 쓰려고 태어났다고 해도 좋겠습니다. 

 

한글의 영혼을 찾아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글을 써왔다고 하셨는데, 작가님이 생각하시기에 다른 언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한글만의 매력은 무엇이 있나요?

 

세종대왕은 우리를 ‘어여삐’ 여겨 한글이라는 놀라운 글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시베리아의 서쪽 끝 우랄산맥에서 일본까지가 한글의 영토가 됩니다. 어쩌면 알타이족의 영역 전체를 포 함시켜도 될 것입니다. 가로X세로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글자는 한글밖에 없습니다. 한글 문학은 아직 100년의 역사밖에 안 되기 때문에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문학이 우뚝서자면 300년의 문학 역사를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젊은 사람들은 이 점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새의 말을 듣다』의 단편들은 독도나 한국 나비등을 통해 한국적인 정체성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그 정체성의 뿌리를 알타이어처럼 우리가 아는 현대의 한국 밖의 것에서 찾는 느낌이 듭니다. 한국 문학의 정체성과 특징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한국 문학은 몽골의 역사/문학과 궤를 같이합니다. 따라서 몽골의 흐오미 음악을 주의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무리 글로벌 시대라고 할지라도 여러 다른 세계로의 길 또한 문학의 길입니다. 돌파구는 여러 곳에 숨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문학자들은 영어는 물론 다른 언어로도 눈을 넓혀 가져야 할 것입니다. 특히 우리는 한국어의 가능성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작가님의 소설들은 이미 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저희 한옥 역시 작가님의 시 몇 편을 영어로 번역하여 1호에 실을 계획인데, 한글을 사랑하시고 또 한글로 글을 쓸 수 있음에 큰 자부심을 느끼시는 작가님께 번역이란 무엇인가요? 작가님의 글이 다른 언어로 옮겨진다는 것은 기쁨인가요, 슬픔인가요?

 

언젠가 박완서 선생과 중국 강연을 갔을 때, 본인은 번역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말씀 하던 기억이 납니다. ‘번역은 반역(反逆)’이라는 말이 있듯이 ‘님과 함께 동치미를 먹는다’는 문장을 ‘동침한다’로 번역해서는 안됩니다. 김현 평론가가 내게 이 예를 들어주었지요. 번역은 내용(메시지)을 알려줄지언정 이미지를 알려주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입니다. ‘이미지가 메시 지에 앞선다(바슐라르)’는 말이 벌써 있는 것입니다. 한글은 번역하기에는 무척 까다롭기 때문 에 주의해야 합니다.

 

어릴 적에는 시인이 되는 것만이 “심각한 목표였다”고 하셨는데, 아직도 똑같이 시에 간절하신가요? 십대 시절, 어떤 시를 읽고 그 꿈을 키우셨는지도 궁금해요.

 

우리 시 가운데서 박목월, 서정주를 먼저 읽었습니다. 

 

윤사월 해 길다 

꾀꼬리 울면 

    (박목월 <윤사월> 일부) 

 

   밤 삼경보다도 

   산속 

   중의 참선보다도 

   조용한 꿈보다도 

   더 쓸쓸하고 고요한 사람만이 사는 

   나라를 아시나요? 

      (서정주 <이런 나라를 아시나요?> 일부) 

 

“한국소설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주제로 한 강의에서 “새롭지 않으면 소설은 물론이고 우리도 죽는다”라는 말씀을 하신 걸 봤어요. 작가님이 생각하시기에 ‘글을 잘 쓰는 것’과 ‘새로운 글을 쓰는 것’은 서로 다른 행위인가요? 작가님은 새로운 글을 쓰기 위해서 주로 어떤 노력을 하시나요?

 

‘잘’ 쓰는 것과 ‘새로운’ 글은 물론 다른 것입니다. 그러나 잘 쓰는 것과 새로운 글은 같은 범주에 들 수 있지요. 이 경우 ‘남달리’ 쓰기를 강조합니다. 남들과 달리 써야만 눈에 띄고 살아 남습니다. 오랜 공부 끝에 얻어지는 결과인 것입니다. 

You have been writing consistently for as long as fifty years. What has been the biggest change in your writing during that time? As you were putting together As the Bird Guides the Mountain and Ocean, you said “now I must unfurl the map I drew with my poems.” I’m curious to know what this map looks like.

 

Many years have passed. However, I cannot show the map I’ve drawn thus far. Because I still have a last 'something' left to draw. Until I’ve written ‘The End’ on that page, I must continue to sit before my desk.

 

In your writing and drawings, birds and plants (flowers and trees in particular) appear exceptionally often. Do you often find inspiration in nature?

 

Earth forms its environment from animals and plants. Animals are classified  as consumers and plants as producers, but they share a collective fate to live together. Humans are the only ones who know how to use language and letters, and with these, they enrich their lives. 

 

Before I called their name, 

they were merely

nothing more than an object.

 

When I called their name,

they came to me

and became a flower.

   (‘Flower 1’ by Kim Chunsu)

 

What relation does the act of drawing/painting have with writing? I’m curious how different modes of ‘creation’ can form one universe.

 

I had been living in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drawings until I began to mingle with painters, then came to be called a painter. It’s difficult to describe with a single phrase the relation between drawing and writing, but the essence of poetry touches that of visual arts.

 

At the end of “Daegwallyeong,” you wrote that you can’t not write a beautiful book, but at the same time, you “wouldn’t dare say that this poetry collection is [that book].” Can I interpret this to mean you aren’t completely satisfied with your own writing? Is it the fate of all poets and novelists to aim for this one beautiful book, despite it being close to unattainable and impossible to satisfy them fully?

 

Humans lie at the center of the universe. Philosophy says, if there is no ‘I,’ there is no universe. ‘I’ place this beautiful book at the center. I might also say I was born to write this book.

 

You once said you wrote to find the soul of Hangul.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unique beauty of Hangul that can’t be found in other languages?

 

King Sejong the Great created this wonderful writing system called Hangul out of compassion for us. The territory of Hangul comprises the Ural Mountains in western Siberia to Japan. We might even include the entire domain of the Altaians. Korean is the only language whe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an be used freely. I sorely regret that Korean literature still has a history of only one hundred years. For a literature to stand tall, it must have a history of at least 300 years. The youths must be mindful of this. 

 

In the short stories of Listening to a Bird’s Words, it feels like you’re pursuing a Korean identity through subjects like Dokdo and Korean butterflies while searching for the roots of this identity beyond the modern-day Korea we’re familiar with, like the Altaic languages.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s circumstances are similar to that of Mongolian history/literature. We should take note of Mongolian höömii music. We may call it the era of globalization, but it is the path to different worlds, the path to literature. Opportunities for breakthrough lie hidden in various places. This is why our literary scholars must widen their breadth to include English as well as other languages. For the potential of Hangul especially, we must make an effort.

 

Your novels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in many languages already, and our team at Hanok is also planning to translate a few of your poems into English and carry them in our inaugural issue. What is translation to you, as a writer who loves Korean and feels great pride in being able to write in Hangul? Do you feel happiness or sadness at the idea of your writing being translated into a different language?

 

When I went to China with Miss Park Wan-suh for a lecture, I remember her saying she herself was not all that delighted with translation. As they say ‘translation is treason,’ ‘I eat dongchimi with you’ must not be translated as ‘I dongchim with you.’* Kim Hyeon, the literary critic, is the one who gave me this example. Translation may communicate the content (the message), but is entirely inadequate for communicating the image. It has already been said that ‘the image precedes the message’ (Bachelard). Korean is extremely complicated to translate, so caution is necessary.

 

*동침 (dongchim) means to sleep with someone. 동치미 (dongchimi) is a type of kimchi.

 

You said that becoming a poet was your sole “pressing goal” when you were young. Do you still have the same urgency toward poetry? I’m curious what poems you read in your teenage years that kindled this dream.

 

Among Korean poetry, I read Park Mok-wol and Seo Jeong-ju first.

 

The lunar leap month sun is long

When the oriole cries

   (Excerpt from “Lunar Leap Month” by Park Mok-wol)

 

More than midnight

More than meditations

in the mountains

More than quiet dreams

Do you know a more desolate and silent

nation of people?

   (Excerpt from “Do you know this nation?” By Seo Jeong-ju)

 

During a lecture called Th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of Korean Novels, I read that you said, “without originality, not only will the novel die, but so will we.” In your opinion, are the acts of ‘writing well’ and ‘writing originally’ distinct from each other? What kinds of efforts do you make to produce original writing?

 

Writing “well” and writing “originally” are certainly different. Nevertheless, writing well and writing originally can fall under the same category. In this case, I emphasize writing ‘differently from others.’ Writing differently from others is the only way to stand out and survive. This can be achieved after honing your craft for a long time.

Translated Vr.

Translated by Jay Kim

Yun Humyong, born in January 1946, is a poet, novelist, and artist from Gangneung, South Korea. In 1969, he created a literary magazine called The 70s with several of his peers. In 1977, he debuted with Expert Archer,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Shortly after, his short story “Tomb Work” was published and he began his career as a fiction writer as well. Some of his other well-known works include The Love of Dunhuang (1983), There Is No Ape (1989), and As the Bird Guides the Mountain and Ocean (2017). He is the recipient of the 18th Hankook Ilbo Literary Award (1985), the 19th Yi Sang Literary Prize (1995), and the 62nd 3∙1 Culture and Art Award (2021), among others.

bottom of page